초점

지난호 보기
협회보 바로보기 협회보 다운로드 전체 목차보기

[포커스] 국제유가 Cycle을 통해 본 석유산업 전망_손지우

ICON ICON

2018 년 상반기만 하더라도 다시 100 달러에 이를 것처럼 상승하던 국제유가가 다시 저유가 수준으로 회귀했다 . 2019 년초 이후로 형성되는 유가 수준은 WTI 기준으로 봤을 때 약 55 달러 내외에 불과한데 , 2015 년 저유가 국면이 시작된 이래로 평균 유가 역시 이 정도였던 것을 감안한다면 회귀 했다라는 표현이 딱히 틀리지는 않을 것 같다



유가가 2015 년부터 장기적인 저유가 구간에 접어든 이유는 단순하다 . 2000 년대 BRICs 전성기 시절에 나타났던 100 달러 이상의 고유가에 익숙했던 석유업계가 ,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려가며 2015 년에서는 30 년 래 최대라 할 수 있는 과도한 투자수준을 보였기 때문이다 . 즉 지금은 그렇게 과도하게 투자되었던 그 유전들이 속속들이 생산을 시작하면서 전반적인 공급과잉이 이어지는 국면으로 이해하면 된다 . 실제로 엑손모빌 (ExxonMobil), 쉐브론 (Chevron), (Shell), BP, 토탈 (Total) 세계 5 대 오일메이저의 투자비율 ( 자본투자 / 매출액 ) 을 조사해보면 , 2015 15% 수준에 근접해 1988 년 이래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바 있다 .

이런 현상은 싸이클산업 (cyclical business) 이라는 명칭에 걸맞게 과거에도 동일하게 반복되었던 패턴들이다 . 투자비율이 최고였던 순간은 1985 년이었다 . 그 때도 지금과 분위기는 비슷했다 . 1973, 78 년 두 차례 오일쇼크는 전 세계를 고유가의 공포 속으로 밀어 넣었다 . 그 대단한 미국이 석유부족현상에 겁을 먹은 나머지 수출금지조치를 발표하고 , 중동의 OPEC 이 북미 / 서유럽으로부터 50 년 넘게 유지되었던 석유패권을 빼앗아 간 것도 모두 이 때 발생했던 일들이다 . 당연히 당시 사람들은 큰 돈을 벌 수 있는 석유개발에 혈안이 되어 있었다 . 일례로 멕시코는 그 즈음에 칸타렐 (Cantarel) 이라는 초대형 유전을 발굴해냈는데 , 이로 인해 자금이 대규모 유입되면서 경제가 활성화되며 한 때 세계 GDP 10 위권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었다 . 정말이지 석유붐 (boom) 이었다 .

그러나 늘 지나치면 독이 되는 법이다 . 그렇게 끝 모르고 개발되던 투자유전들이 1990 년을 전후로 속속 신규가동을 시작하자 석유시장은 서서히 공급과잉 국면에 진입하기 시작한다 . 때 마침 석유를 덜 쓰려는 기술들 , 예를 들면 고연비 자동차나 가스발전소 등이 속속들이 등장하면서 소비마저도 줄어드는 상황이었다 . 이는 자연스럽게 유가의 하락을 불러왔고 놀랍게도 1998 년까지 10 년 넘게 내리 추락하기만 한다 . 게다가 1998 년은 우리에게도 생생히 기억나는 일이겠지만 아시아 금융위기가 전 세계 경제를 위기로 몰아넣는 순간이었다 . 이런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WTI 기준으로 봤을 때 1998 년 한 해 동안 평균 유가는 14.4 달러에 머물고 만다 .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수치일 것이다 . 심지어 Dubai 는 일시적으로 9 달러까지 하락하기도 했었다 . 그야말로 10 년 넘게 이어진 충격적인 장기 저유가 국면의 결과물이었다 .

그렇게 충격적인 저유가 구간을 경험하고 나니 인간이라는 존재는 어쩔 수 없이 과거 고유가 시대의 경험을 망각한다 . 한 때 15% 근접할 때까지 상승했던 5 대 오일메이저의 투자비율은 2000 ~2005 년 구간에는 5% 레벨까지 급락을 한다 . 이제는 석유의 시대가 끝났다고 생각하고 아무도 투자를 하지 않은 것이다 . 그렇지만 아무도 투자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전에서 산출될 수 있는 석유물량이 갈수록 부족하게 되고 , 때마침 BRICs 라는 개발도상국 중심의 에너지 수요 폭발기에 진입하면서 유가는 다시 상승세를 그리기 시작한다 . 결국 2007 년에는 오일쇼크 때를 뛰어넘는 150 달러에 도달하기도 했고 , 리먼사태의 위기로 급락이 있었지만 곧바로 회복되어 그 이후 2014 년까지는 100 달러 내외에 머무는 고유가 시대에 안착하게 된다 .

이 때 또 1998 년 평균 유가 14.4 달러의 공포를 완전히 망각하고 지나치게 과도한 투자를 집행한 것이 바로 앞서 설명했던 2015 년이다 . 그리고 이 때까지 투자되었던 유전들이 현재 생산으로 속속들이 연결되면서 결국 석유의 공급과잉 시대를 우리는 다시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 마치 1985~2000 년 구간처럼 말이다 .



통상 유가는 고유가와 저유가의 싸이클 (cycle) 을 각각 10 년 정도 유지한다 . 즉 주기가 10 년 내외다 . 이 같은 일 발생하는 이유는 유전개발의 기간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일반적으로 유전을 개발할 때에는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7~8 , 많게는 10 년의 기간이 소요가 된다 . 이 부분이 핵심인데 , 석유업계가 2000 년에 저유가의 공포에 휩싸여 아무도 투자하지 않고 있다가 2005 년을 전후로 유가가 급격히 오르자 그 때부터 급하게 다시 유전투자를 재개했어도 , 결국 실질 생산으로 연결되는 것은 약 10 년 뒤인 2015 년부터이기 때문이다 . 2019 년 지금에서도 저유가인 이유는 10 년 전에 투자했던 물량들이 속속 가동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결국 투자가 2015 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했기 때문에 공급과잉의 압박은 2025 년 전후한 시점까지는 이어진다고 봐야 한다 . 올 초 EIA 가 이미 1,100 b/d 를 넘어 세계 최대 , 사상 최대 산유량을 기록 중인 미국이 2022 년에는 1,500 b/d 넘게까지 산유량이 늘어나게 된다고 전망한 것도 이와 연관된다 . 뿐만 아니라 올 해부터는 멕시코와 브라질의 대규모 신규유전도 가동이 시작된다 . 즉 적어도 2019 년 현재 시점에서 다시 유가가 급반등을 해서 100 달러 시대에 진입한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싸이클산업에 대해 이해가 부족하기에 나오는 분석들에 불과하다 .

이제 다운스트림 (downstream) 으로 내려와서 살펴보자 . 정유산업은 기본적으로 석유와 일관공정화 되어 있는 산업이다 . 한국은 비산유국임에도 독특하게 석유 없이 정유 - 석유화학의 대규모 공단을 보유하고 있어서 그렇지 , 사실 일본 정도를 제외하고는 우리와 같은 구조를 지닌 국가 및 기업은 많지 않다 . 석유 - 정유 - 화학이 일관공정으로 통상 존재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 원유 (crude oil) 는 그 자체로는 아무 쓸모가 없기 때문이다 . 정유설비를 거쳐 휘발유 , 등유 , 경유 , 납사 등의 형태로 변환을 시켜야 우리에게 현실적인 쓸모를 지니게 된다 . 이 말인즉슨 산유량이 늘어나면 일단 정유설비도 증대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글로벌데이터 (GlobalData) 2022 년까지 중국과 중동을 중심으로 1980 년대에 맞먹는 대규모 정유설비들이 진입한다고 분석하는 것이 그렇게 이상할 것도 없는 그림이다 . 산유량 지속 증대된다면 정유설비도 그만큼 많이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 따라서 석유의 공급과잉만큼 정유설비의 공급과잉 또한 불가피하다 .

화학도 다를 바 없다 . 이미 셰일혁명으로 큰 재미를 본 미국의 에탄 크래커들이 최근 대규모로 진입하면서 공급과잉을 가시화 했는데 , 2021 년 이후로는 단순히 미국뿐만 아니라 역시 중국과 중동을 중심으로 대규모 설비들의 진입이 예정되어 있다 . 물론 이는 시황에 따라 연기될 개연성도 있지만 , 역사적인 양상으로 살펴본다면 그렇게 안이하게만 바라볼 것도 아니다 . 즉 장기적인 공급과잉 양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

화학산업은 석유산업이 태동된 1900 년을 전후한 시점에서 시작된다 . 당연히 당시 미국과 유럽의 화학업체가 전 세계를 주름잡고 있었는데 , 이 판도를 깨트린 것이 바로 1930 년을 전후로 한 일본이다 . 그들은 낮은 임금과 지대를 바탕으로 함과 동시에 ,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는 대규모이자 신식설비를 앞세워 미국 / 유럽의 아성을 무너뜨리고 화학업계를 주름잡게 된다 . 하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로 인해 그들도 경제가 성장하게 되면서 낮은 가격 의 이점이 사라지게 되는데 , 이 때 1970 년을 전후로 한국과 대만이 일본과 똑 같은 전략 , 즉 저가 전략을 토대로 시장에 진입하면서 일본을 밀어내고 역시 많은 이득을 취하게 된다 .

하지만 우리도 이제 경제가 발전했다 . 임금과 지대는 만만치 않게 높으며 , 설비 자체도 아무리 정기보수를 열심히 했다고 하더라도 구식이다 . 반면 현재 중국과 중동은 비교도 되지 않는 막대한 자금력과 에너지 보유량 , 그리고 낮은 임금과 지대를 바탕으로 우리가 일본에게 그랬던 것처럼 정유 / 화학 산업을 장악하기 위해 점차 진입하고 있다 . 그럼 결과는 어떻게 될까 ? 역사만 봐도 답은 뻔히 나와 있다 .

그렇다면 이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 정답은 하나다 . 기술의 장착이다 . 사실 우리가 이름을 알고 있는 유수의 화학기업들 , 즉 다우뒤퐁 (DowDuPont), 바스프 (BASF), 신에츠 (Shin-Etsu) 등은 이제 순수화학기업이라 부르기 힘들다 . 농화학 , IT 소재 등등 다양한 기술을 장착해 사실상 특수소재업체로서 명성을 유지해가고 있다 . 그들이 이렇게 기술을 장착하게 된 이유 역시 우리와 같은 고민에서 나왔다 .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70 년대에 우리가 저가 전략을 바탕으로 시장에 밀고 들어오자 그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발전한 것이었다 . 이제는 반대로 우리가 그들을 보고 배워야 할 때다 .

마침 4 차 산업혁명과 스마트시티의 바람이 불어오면서 세상이 점점 변하고 있다 . 어쩌면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의 생각보다 훨씬 더 빨리 세상이 변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 한국이 택시노조의 힘으로 시장 진입을 틀어막은 글로벌 승차공유 1 위 업체 우버 (Uber) 의 기업가치가 현재 얼마로 평가 받는지 아는가 ? 150~200 조원이다 . 그저 스타트업 내지는 벤처기업이라고 무시하고 있는 분이 있었다면 안타깝게도 그만큼 시대의 방향성과 뒤떨어져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 참고로 같은 자동차 업계로 분류되는 한국의 자랑 현대자동차의 시가총액이 약 25 조원으로 그들의 1/10 수준에 불과하고 , 우리나라 최고인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우버와 유사한 약 250 조원이다 . 그만큼 세상의 변화는 급격하고 혁명적이다 . 그래서 지금이 산업혁명이다 .

싸이클 산업은 좋고 나쁨의 패턴이 있다 . 우리는 그에 익숙하다 . 1970 년대 이후로 약 50 년 간 이를 경험하면서 기다림에 익숙해져 있다 . 분명히 또 기다리면 공급과잉이 해소되는 몇 년 뒤에는 지금보다 상황이 좋아질 것이다 . 그렇지만 몇 년이 아니라 10 , 20 년 뒤를 바라본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 그 때가 되면 전기차 기반의 자율주행차량의 등장으로 석유산업이 사양세에 접어들고 있을 지도 모른다 . 마치 1900 년을 전후로 석유가 등장하면서 석탄을 완벽하게 몰아낸 것처럼 말이다 . 변화를 취하는 것은 선택사항일까 필수사항일까 ? 역사를 봐도 , 그리고 미래를 봐도 답은 이미 나와 있는 것처럼 보인다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