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A 의 원유교역 전망
( 미래전략팀 류인권 팀장 )
IEA 는 “OIL 2018” 보고서를 통해 원유의 지역간 교역을 7 개 권역 ( 북중미 , 남미 , 유럽 , 중동 , 아프리카 , 구소련연방 , 아시아 등 ) 으로 구분하고 , 2023 년까지의 교역변화를 전망하고 있음 . 다음은 IEA 의 보고서를 요약한 것임 . |
▢ 원유교역 전망
◦ 향후 6 년간 원유교역량은 원유생산이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지역에서 대부분의 정제활동이 성장하기 때문에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 아시아의 석유수요 증가로 원유교역은 활발해질 것이나 , 중동 , 舊 소련연방 , 아프리카 및 라틴 아메리카 등 전통적인 원유공급 지역들의 수출은 0.7 백만 b/d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 3.7 백만 b/d 에 달하는 아시아의 원유수입 증가분은 ① 정제설비 가동감소와 북해의 생산증가로 인한 유럽의 수입 감소분 (0.9 백만 b/d) 과 ② 나머지 추가적인 아시아 원유수요는 대부분 북미에서 공급할 것임 .
◦ 2017~23 년 동안 북미의 정제처리량이 0.5 백만 b/d 상승함에도 이지역의 원유밸런스 (crude oil balance) 는 순 수입량이 3.4 백만 b/d 에서 0.5 백만 b/d 로 축소됨 .
- 미국의 정유사의 정제처리량이 크게 증가할 것이 예상 되더라도 증가량의 대부분은 자국내 LTO(light tight oil) 와 함께 캐나다의 희석 역청유 (diluted bitumen) 에서 충당될 것이므로 전통원유의 소비량은 큰 변화가 없을 것임 .
- 아울러 미국 LTO 의 추가 생산량 대부분은 수출될 것이며 , 미국으로의 총 수입은 감소할 것이고 , 원유 부족량은 2017 년에 7 백만 b/d 이상에서 2023 년에는 5 백만 b/d 이하로 줄어들 것임 .
<2017~23년 지역별 원유 밸런스 변화(백만 b/d)>
◦ 2023년 미국의 원유수입 의존도는 크게 감소하여 인도의 수입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지는 반면, 중국의 수입수요량은 미국의 2배가 되어 2023년에는 10백만 b/d에 달할 것임. 인도네시아는 원유생산량이 감소하고 정제능력이 증가됨에 따라 원유수입이 5만 b/d에서 70만 b/d 이상으로 급상승함. 말레이시아, 베트남 및 브루나이는 신규 정제설비가 추가되면서 원유 순수입국가로 전환되고 2020년 초에 이르러 아시아에서는 원유 순수출국이 사라질 것임.
◦ 미국의 경질타이트오일(LTO, light tight oil)은 세계적인 수출증가를 지배하고 이를 뒤이어 몇몇 비OPEC 국가들이 수출 증가세를 주도함. 캐나다와 브라질은 각각 1백만 b/d을 추가 공급할 것임(캐나다의 생산 증가분은 거의 미국으로 공급).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승인의 어려움에 비추어 볼 때, 캐나다산 석유는 해상수출에 의미 있는 물량을 공급할 것으로 전망되진 않으며, 대신 미국의 정제설비로 투입될 것임. 캐나다산 원유(upgraded bitumen 및 diluted bitumen)는 이미 미국 중서부 정유사의 주요 공급원이지만 희석 역청유(diluted bitumen) 생산 증가분(0.7백만 b/d)의 대부분은 미국 걸프코스트 정제시설로 공급될 것임.
◦ 아울러 50만 b/d 이상을 시장에 추가 공급하게 될 다음 국가는 노르웨이임(OPEC의 총 수출증가분 보다 많은 물량)
- 이라크와 UAE는 중동에서 유일하게 각각 50만 b/d와 40만 b/d의 수출량을 증가시킬 것이고, 사우디와 이란은 10만 b/d 미만에 그칠 것임. 이러한 증가분은 쿠웨이트와 오만의 수출량(36만 b/d와 32만 b/d) 감소로 각각 상쇄되어, 전체적인 중동의 순 수출량은 30만 b/d이 증가함
◦ 러시아 수출량은 정제처리량이 감소함에 따라 30만 b/d이 증가하고 카자흐스탄의 원유공급량은 12만 b/d 증가지만,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의 수출 감소로 부분적으로 상쇄됨
◦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의 원유공급 증가가 베네수엘라 및 기타 국가에서 발생한 생산량 감소로 상쇄되어 전체적으로 40만 b/d의 순 손실을 초래함.
◦ 아프리카의 경우 앙골라의 원유생산량 저하로 40만 b/d의 수출이 감소하고, 나이지리아의 원유수출은 대규모 신규 정제설비 가동으로 20만 b/d 감소함. 정제수요 증가와 원유생산량 감소로 알제리 수출량은 20만 b/d 감소하며, 이집트도 원유생산량 감소와 정제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순 원유수입국으로 전환됨. 아프리카에서 원유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국가는 리비아로 30만 b/d 이상 증가하지만 정치적 변수가 존재함.
<2017~23년 원유 순수입 상위 5개국 물량변화(백만 b/d)>
<2017~23년 원유교역의 주요 흐름(백만 b/d)>
* ( )는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