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배경 및 전망 - 구 자 권 한국석유공사 해외조사팀장 - 상반기 국제원유가 동향 2003년 이후 국제 석유 가격은 매년 시장의 예상을 크게 넘어서는 급등세를 이어오고 있다. 2004년(평균가격기준)에 20%이상 급등 한 데 이어, 2005년에는 50% 가량 급등하였다. 금년도 예외가 아닌 것 같다. 년 초 중동산 두바이기준 55불 수준이던 국제 유가는 이란 핵문제, 나이지리아 공급 차질 등을 배경으로 급등세가 이어지면서 1월 중순 60불을 돌파한 데 이어 5.3일에는 사상 최고 수준인 68.58불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5월 중순 현재 금년 평균 유가(중동산 두바이유)도 60불을 넘어서 전년 동기 대비 40%이상 급등하였다. 먼저 이러한 고유가가 몇 년째 지속되는 데는 근본적인 배경이 있다. 2000년대 이후 근본적으로 석유시장의 구조가 고유가 구조로 전환했다는 것이다. 즉 여유 공급능력의 부족, 개도국을 중심으로 한 견조한 수요 증가, 산유국들의 영향력 강화 및 고유가 정책, 석유 생산 비용의 상승 등이 그 배경이다. 지난 80년대 저유가 시대가 지속되면서 석유공급부문에 대한 투자부진으로 공급능력은 정체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반면 저유가 지속과 경제성장으로 석유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특히 최근 4년간 석유수요는 급증(연평균 2.4%, 570만 b/d) 하면서 여유 공급능력이 고갈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2003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세계 경기회복과 중국, 인도 등 개도국들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세계 석유수요가 견조한 상승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러시아를 비롯한 비OPEC 국가들의 공급증대는 한계에 봉착해 OPEC의 시장 점유율과 통제력은 증가할 수밖에 없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또한, 산유국들의 생산과세가 강화되고 철강 가격 등 투입비용이 상승하는 등 석유 생산비용이 증대된 점은 장기적인 유가의 하한선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요인들은 단기간에 해소될 수 없는 성질의 것이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고유가의 고착화는 불가피해 보인다. 금년 상반기의 경우에도 이러한 구조적인 상승 요인이 작용하는 가운데, 몇 가지의 추가적인 강세 요인이 작용하였다. 첫째, 이란 핵문제의 부상이다. 금년 1월 이란이 핵 농축 활동을 재개하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과의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하였고, 이것은 최악의 경우 석유 공급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으로 확산되면서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란이 세계 5대 산유국(하루 4백만 배럴 생산)인데다, 중동에서 차지하는 독특한 지리적 정치적 위치 때문에 중동 정세 문제가 제기되면 가장 먼저 거론 되는 국가중의 하나이다. 그렇지 않아도 타이트한 수급상황에서 이란의 공급이 중단된다면, 그 파장은 엄청날 수 있다는 것이 공급불안의 배경에 깔려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고유가는 하반기에도 지속될 수 있을 것인가? 먼저, 공급능력 부족, 개도국 수요 증대, OPEC 고유가 정책 등 구조적인 요인은 하반기에도 그대로 지속될 수밖에 없다. 금년 하반기가 아니라 최소한 향후 수 년간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국면이다. 따라서, 당분간은 두바이 기준 50불이하의 유가 안정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둘째, 이란 문제도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요인이다. 실제 군사적인 충돌로 발전할 지는 미지수이나, 미국과 이란 모두 양보할 수 없는 사안이라는 점에서 마주 달려오는 열차를 연상시키는 국면이다. 또 이 과정에서 심리적인 불안감은 유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만약 이란 사태가 악화되어 군사적인 충돌로 발전하여 공급차질을 유발하든가, 서방측의 제제조치에 반발하여 이란이 금수조치를 하는 극단적인 상황이 발생한다면, 상반기 유가수준을 크게 넘어서는 추가적인 유가 급등은 불가피하다. 그렇지 않아도 타이트한 수급상황에서 대규모 공급차질이 발생한다면, 그 파장은 가늠하기 어렵다. 특히, 일부에서 우려하듯이 세계 원유 물동량의 1/3이 통과하는 호르므즈 해협이 봉쇄된다면, 심각한 위기국면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100불이상의 유가 급등도 불가피하며, 세계경제에도 일대 재앙이 될 것이다. 그러나, 한편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은 누구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의 장기화는 모두의 공멸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역사적으로도 해협의 봉쇄가 발생한 적은 없다. 두 번째로 나이지리아 공급차질문제도 단기간 에 해결을 기대하기 어렵다. 주요 산유지역의 주민들은 석유생산의 부가 공평하게 분배되지 못한다는 불만을 가지고 있고 이것이 결국 문제가 된 것이 이번 사태라고 본다면, 사태의 조기 해결은 어려워 보인다. 특히 내년 나이지리아 대선을 앞두고 있어 사태지속가능성은 더욱 높다. 먼저, 미국 휘발유 시장의 공급 불안은 다소 완화되고 있다. 휘발유 가격 급등에 따른 수요 감퇴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부분들은 유가안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