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지난호 보기
협회보 바로보기 협회보 다운로드 전체 목차보기

[리포트] 지역별 중기 정제설비 증설_폐쇄 전망_류인권

ICON ICON

지역별 중기 정제설비 증설폐쇄 전망

<원문 : World Oil Outlook(OPEC) 2018. 10>

 

1. 2023년까지 세계 정제능력 확대는 780b/d에 이를 전망

 

2018~23년 사이의 세계 정제능력(distillation capacity) 확대는 약 7.8백만 b/d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주로 개발도상국의 주도로 이루어질 것임. 아시아·태평양 및 중동지역은 세계 정제능력 확대의 70% 이상을 차지할 것이며, 세부적으로 중동 2.3백만 b/d, 중국 1.7백만 b/d, 기타 아시아·태평양이 1.6백만 b/d 규모임<1>.

 

<1> 2018~23년 지역별 증류용량(distillation capacity) 추가규모 현황 [백만 b/d)




2. 정제능력 확대에 따른 원유처리 공급과잉은 250b/d로 추산

이와 같은 증류용량 확대 규모(7.8백만 b/d)를 기반으로 추산한, 원유처리 능력의 잠재적인(potential) 증가는 2023년까지 누적 7.4백만 b/d에 달할 것으로 보임(가동률 90%로 가정). 이는 같은 기간 예상되는 석유수요 증가(7.3백만 b/d)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나, 원유(non-crude)공급이 이 기간 2.4백만 b/d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원유처리가 필요한 수요증가는 4.9백만 b/d에 불과하게 됨. 따라서 2023년까지 예상되는 7.4백만 b/d의 원유처리 예상증가량은 필요수요를 2.5백만 b/d 초과하게 될 것으로 예측됨[그림 1].

 

[그림 1] 세계 원유처리(필요능력 vs 잠재능력] 누적 증가량 전망 [백만 b/d)




* Required(필요능력) : 제품수요 증가전망에 근거한 필요 원유처리 용량

**Potential(잠재능력) : 설비확대 프로젝트에 근거한 잠재 원유처리 용량(설비폐쇄 고려안함)

 

3. 2023년까지 글로벌 정제설비 폐쇄규모는 1백만 b/d로 전망

 

2018~23년 사이 예상되는 글로벌 설비폐쇄는 1.0백만 b/d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됨. 여기에는 2020Aruba의 정제설비 재가동(235,000 b/d)을 반영한 것이므로, 총 폐쇄규모는 약 1.2백만 b/d에 달하는 것임<2>. 최근 수년간 다수의 정제설비 폐쇄단행으로 설비폐쇄 속도는 둔화되었으며, 단기적으로 확정된 유일한 설비폐쇄는 중동지역의 2개의 합리화 프로젝트와 관련이 있음. 결과적으로, 2021년까지의 총 정제설비 폐쇄는 연간 약 0.1백만 b/d 수준임. 그러나 2022~25년 사이의 설비폐쇄는 연평균 0.3백만 b/d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됨.

 

<2> 지역별 정제설비 순(Net) 폐쇄 현황 및 전망 [백만 b/d)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