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지난호 보기
협회보 바로보기 협회보 다운로드 전체 목차보기

2004년 7∙8월호

미국 국가에너지정책(NEP) 보고서의 분석
최근 국내 각종 언론 매체에 에너지안보에 대한 기사나 특집이 종종 눈에 많이 뜨인다. 대부분 중국발 에너지위기, 우리 주변 국가들의 에너지 확보에 대한 의지, 동북아 에너지 협력 등에 대한 것이다.

2004년 7∙8월호

김선일씨 사건으로 되돌아 본 이라크
한마디로 충격이었다. 6월 21일 새벽 청천벽력 같은 섬뜩한 뉴스 한 토막이 전해지더니, 곧이어 “정부는 김씨가 지난주 목요일인 17일에 납치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2004년 7∙8월호

기후변화 협약에 대한 정유산업의 대응전략
그 동안 교토의정서 비준에 대해 소극적 입장을 견지해 오던 러시아가 최근 비준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국내외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2004년 5∙6월호

고유가 상황의 배경 및 향후 유가전망
미국 서부텍사스중질유(WTI) 가격이 배럴당 41달러를 넘고 중동산 두바이 원유가격도 배럴당 35달러대에 들어서는 등 우려할만한 고유가 상황이 예상보다 오래 동안 지속되고 있다

2004년 5∙6월호

고유가가 국민경제 및 국내산업에 미치는 영향
작년 하반기 이후 오르기 시작한 국제유가는 올해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3월 이후 점차 완만한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던 국제유가는 4월에는 OPEC의 감산조치 등으로 오름세가 계속...

2004년 5∙6월호

최근 국제유가 동향과 대책
OPEC 총회(2004.3.31) 직후 일시 29$/b대로 하락, 2004.4.7이후 이라크사태 악화로 최근 들어 35$/b대로 급등

2004년 5∙6월호

고유가가 석유수요에 미치는 영향
국제원유 가격 상승이 우리나라 석유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우선 지난 몇 년 동안의 우리나라 석유소비 추이를 살펴보고, 국제유가가 우리나라 석유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시나리오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2004년 5∙6월호

고유가 대응 세금인하 시급
국제유가 상승으로 국가경제와 국민생활에 비상이 걸렸다. 아시아 대표유종인 두바이유는 배럴당 35달러를 돌파하여 1990년 걸프전 이후 14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2004년 3∙4월호

석유와 국제정치
석유확보를 위한 국제사회의 이러한 집념은 최근들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지만 그 배경을 살펴보면 이미 상당히 오래전부터 개별국가마다 나름대로 꾸준한 준비를 해오고 있었다는 사실이 나타난다.

2004년 3∙4월호

관심 끄는 제2의 중동, 카스피해 및 사할린
카스피해와 연안지역에는 막대한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어 이 지역이 앞으로 10년 이내에 세계 석유, 천연가스의 주요 공급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