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지난호 보기
협회보 바로보기 협회보 다운로드 전체 목차보기

2010년 겨울호 vol.279

석유유통시장의 변화와 발전방향
우리나라의 석유유통시장은 크게 2차례에 걸쳐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처음 변화가 1990년대 중반에 진행된 석유산업 자유화이다

2010년 겨울호 vol.279

석유산업의 오늘과 내일
12월 들어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90불에 바짝 다가서며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10년 겨울호 vol.279

한국 석유산업의 현재와 미래 발전전략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 석유산업은 놀라운 성장과 발전을 지속하였다.

2010년 가을호 vol.278

親클린디젤이 親서민이다
지난 8월 서울 도심에서 운행 중이던 시내버스의 압축천연가스(CNG) 연료통이 폭발해 한바탕 소동을 겪었다. 당시 사고로 20대 여자 승객 발목이 절단되는 등 승객과 행인 17명이 부상했다.

2010년 가을호 vol.278

클린디젤·디젤하이브리드 보급 활성화로 세계 그린카 시장 선점해야
최근 유럽 친환경 정책의 대표적 국가 스위스에서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스위스 정부연구소 EMPA에 의해 수행된 “전기자동차의 Li-Ion 베터리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2010년 가을호 vol.278

서민의 발 버스, 안전이 최우선이다.
최근 천연가스(CNG)버스의 용기가 폭발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곧 이어 천연가스버스의 재생타이어가 파열되면서 역시 부상자가 발생하여 시민의 대표적인 이동수단이라는 버스에 대한 신뢰성에 의심이...

2010년 가을호 vol.278

친환경 연료인 클린디젤에 지원 확대해야
2010년 8월 9일, 서울 행당동에서 천연가스(CNG) 시내버스의 가스통 폭발사고가 일어났다. 그리고 채 일주일도 안 된 15일에는 서울 숭인동에서 버스의 타이어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2010년 여름호 vol.277

디젤자동차가 가장 효율적이고 친환경적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차에 대한 뉴스가 넘쳐 나지만 현실적으로 ‘완전 무공해 차’를 위한 길은 멀어 보인다. 우리나라 언론들은 전기차를 완전무공해라고 소개하고 있지만 잘못된 것이다

2010년 여름호 vol.277

그린카의 현재와 미래
최근의 화두는 친환경이다. 이를 가장 대표하는 자동차는 친환경의 대표 주자라고 할 수 있다.

2010년 여름호 vol.277

각국의 그린카 정책동향 및 전망
지구 온난화 현상이 사회적 주요 이슈로 부각되면서 차량연비 또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석유자원의 고갈에 따른 유가의 상승 등과 같은 경제적인 문제에서 해수면 상승, 이상기후의 발생 등과 같은 인류의 생존...